명(明)나라 사상가 이탁오(李卓吾)는 예순넷에야 첫 책 '분서(焚書)'를 냈다. 30년 넘게 관리를 지낸 그는 쉰 되기 전까지는 유교 경전을 아무 생각 없이 읽었다고 털어놓았다. "쉰 살이 되기 전까지 나는 한 마리 개와 같았다.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어대자 나도 따라 짖어댔다." 그는 노후를 준비해야 할 나이에 자신을 깨부수고 현실을 비판하는 지식인으로서 제2의 청춘을 살았다.
▶옛날엔 마흔만 돼도 초로(初老)라 했지만 요즘엔 '노인'이라는 말을 함부로 꺼내서는 안 된다. 오늘의 노인이 옛날의 그 노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 후생성은 쉰에서 예순아홉까지는 알차게 결실을 맺은 연배라고 해서 실년(實年)이라고 부른다. 일흔이 넘으면 성숙했다는 뜻으로 숙년(熟年)이라고 한다. 중국에선 50대가 숙년이고, 60대는 장년(長年), 70대 이상은 존년(尊年)이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도 노인(old man) 대신 '더 나이 든 사람(older man)'이라는 표현을 쓴다. '나이 든 시민(senior citzen)'과 '황금 연령층(golden age)'도 노인을 대신하는 말이다. 프랑스에선 예순 넘은 사람을 '제3의 인생'이라고 부른 지 오래됐다. 우리 정부도 고용관계법을 고치면서 쉰 넘은 '준(準)고령자'와 쉰다섯 이상 '고령자'를 합쳐 '장년(長年)'으로 바꿔 쓰기로 했다. 국어사전에 '오래 산 사람' 또는 '오랜 세월'이라는 뜻으로 올라 있던 말이다. 서른에서 마흔 안팎까지 힘이 펄펄한 장년(壯年)과는 다른 호칭이다.
▶한국인 평균 수명이 남자 일흔일곱, 여자 여든넷인 현실에서 장년(長年)은 힘이 남아도는 젊은 축에 들어간다. 한창 일할 나이인 베이비붐 세대(49~57세)를 고령자라고 부를 수 없는 세태가 '장년'을 사전 바깥으로 불러낸 셈이다. 정부가 '고령자'라는 표현을 없애는 것은 이미 퇴직했거나 곧 퇴직하게 될 베이비붐 세대의 재취업을 북돋우기 위해서다. 장년을 고용한 기업은 정부 지원금을 받게 된다. 장년 근로자는 임금을 덜 받고 덜 일하는 대신 더 오래 근무할 수 있게 된다.
▶심리학자와 뇌과학자들은 40~60대의 뇌가 청년의 뇌보다 더 똑똑하다는 실험 결과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기억과 계산 능력은 뒤처져도 경험과 전문 지식 덕분에 추론(推論)과 판단 능력이 훨씬 앞선다고 한다. 장년은 인생이라는 마라톤에서 반환점을 막 지나쳤을 뿐이다. 건강한 장년이 마음껏 달릴 수 있게 길을 열어줘야 한다. 그래야 세상도 장년의 지혜를 빌릴 수 있다.
'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헌 살롱](860) 수입의 5분의 1만 자기 돈 (0) | 2012.11.06 |
---|---|
"빈사 위기 인문학 위해 목소리 낼겁니다"26일 창립 한국인문학총연합회 대표회장 김혜숙 교수 (0) | 2012.10.26 |
노인의 성(性) (0) | 2012.08.07 |
[만물상] 폭염 (0) | 2012.07.29 |
[윤희영의 News English] '자신의 부음(訃音)기사' (0) | 201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