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년간의 직장 생활을 마쳤다. 집으로 나앉으니 직장 다닐 때와 다른 변화를 느낀다. "밥 먹자, 술 마시자"하며 다가오던 사람들도 뜸해졌다. 명절 때 주방에 놓이던 선물 상자도 보이지 않는다. 수시로 울리던 전화벨도 잠잠해졌다. 친지나 지인이 자주 와 앉던 거실 의자도 신문 잡지들만 쌓인다.
아내마저 내 곁에 있을 때가 드물다. 물론 천성적으로 무뚝뚝한 성격에다 아기자기한 말재주라곤 없는 내 탓이기도 하지만…. 친구들은 집에서 가끔 손자, 손녀들과 논다고 하는데 나는 그런 재미도 누리지 못한다. 자식들이 외국으로 제 갈 길로 떠났기 때문이다. 아들은 미국으로, 두 딸은 일본으로.
그러니 나이 든 부부만 사는 작은 영지(領地)에 가장이라고 집에 버티고 있어 봐야 아내는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틈만 나면 수영이다, 헬스센터다 하여 밖에 나가 보내는 시간이 많아져 간다. 월급 타다 주던 시절에는 끼니때만 되면 내가 좋아하는 반찬을 준비해 놓고 "국이 식어요"라고 따뜻하게 맞던 아내였다.
그러던 아내가 달라졌다. 어떤 때는 친구들과 밥 먹고 들어가니 중국 음식을 시켜 먹으라고도 한다. 가장이 집을 지키고 있어도 신경을 별반 쓰지도 않는다. 하기야 친구들과 술자리에 앉으면, 빗자루에 쓸려도 쓸려나가지 않고 빗자루에 달라붙는 '젖은 낙엽'처럼 아내에게 붙어 다니는 신세란 한탄이 서로 나오니, 나만이 겪는 처지는 아닌 듯싶다.
만감이 서린다. 일본·미국·브라질 등지로 근무지를 옮겨 다니며, 날마다 야근을 하고 휴일 없는 고된 외국 근무를 했는데 "이런 신세가 됐나"싶어 심정이 착잡하기가 이를 데 없다. "이럴 줄 알았다면 진작 평생 월급 받을 직장이라도 구해 볼걸…."
전화가 온다. 막내딸이다. 아빠 엄마 결혼 40주년이라고 일본에서 오겠다는 것이다. 그 전화를 받자 아내는 신이 났다. 내겐 주지 않던 인삼을 달이고, 비싸다고 사 먹지 않던 명란젓도 사오며 주방을 들락거린다.
나는 며칠간 딸아이와 같이 지낼 희망에 부푼다. 영화도 보고 음악도 듣고, 맛있는 집에 가서 식사도 해야지 하며 나름대로 찾아갈 곳의 순서도 꼽았다.
그랬는데 처음부터 기대가 어긋난다. 공항에서 집에 도착하자마자 딸애는 엄마와 같이 전에 다니던 미장원에 다녀온다며 둘이 팔짱을 낀다. '이럴 수가!' 하지만 "아빠 미안해요. 빨리 돌아올게요"라고 미소 지으며 나서는 딸애를 말릴 수 없었다. 오랜만에 딸과 오붓이 즐기려던 오후 일정을 모두 접어야 했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더니.
홀로 멍하니 응접실에 앉아 생각을 하니, 내가 이해심이 부족한 게 아닌가 싶다. 오랜만에 딸애의 머리를 커트하러 미장원에 간 아내를 시샘하다니, 언제부터 내 마음이 이렇게 좁아졌을까. 전에는 이해심이 많다는 말을 듣곤 했는데…. 자탄하고 있을 때 전화벨이 울린다.
"배고프지요? 딸애가 사 온 '삿포로' 라면이라도 끓여 드시고 조금만 더 기다려요." 옷가게 몇 군데를 들러서 온다는 아내의 전화이다. 쇼핑은 나와 함께 다녀도 되지 않느냐며 짜증을 냈지만, 곧 들어간다는 말만 되풀이한다.
그러던 아내는 석양녘이 돼서야 집에 돌아왔다. 안방에서 사 온 옷들을 입어 보며, 근래에 듣지 못했던 웃음소리가 들려온다. 난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소파에 덩그러니 앉아 TV를 본다. 하필이면 '파고다 공원 노인들의 하루 생활'이란 특집 프로그램이다.
지난날이 그립다. 1977년 로스앤젤레스 무역관에 부임할 때다. 가족 데리고 외국에 나가기가 어려웠던 시절에 "아빠 덕에 애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게 되었다"고 내 손을 꼭 잡던 아내의 그 정겨운 표정은 이제 어디로 간 것일까. 그때는 아내도 애들도 내 곁에 있었다. 백화점을 갈 때도 동네 식품점을 들를 때도 나만 따라다녔다. 이제 내 힘도, 가정에서의 영향력도 점점 시들어 가고 있으니….
바깥이 어둑해져서야 아내와 딸은 거실로 나온다. 딸애가 선물이라며 와이셔츠와 넥타이를 내게 건넨다. "저녁은 외식해요"라는 딸아이의 말이 떨어지기 바쁘게 아내는 "그러자"며 맞장구를 친다. 둘만 집에 있을 때는 자기 생일날에도 식당 음식이 비싸다며,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던 아내가 아닌가. 복요리가 좋겠다며 아내는 선뜻 앞장을 선다. 절대로 싸지 않은 생선 요리를 모처럼 먹어 보자는 심사다. 밥 사 달라고 할 때나 끼워 주는 서러운 가장이 되었다. 식당 쪽으로 걸어가면서도 아내는 딸과 연방 귓속말을 주고받는다.
하긴 아내의 원기도 약해졌다. 낯선 외국에서 호강은커녕 찾아오는 국내·외 손님 접대에 집안을 쓸고 닦고, 항상 행주를 들고 살았다. 이제 앞치마 벗고 바깥바람을 좀 쐰들 그리 탓할 일이 아니다. 애들 없는 빈 둥지에서 아내인들 무슨 힘이 솟겠는가. 축 처진 어깨와 주름진 얼굴이 그저 안쓰럽다. 그래도 막내딸을 보더니 얼굴에 화색이 돈다.
닷새 동안 집에 있던 딸애를 공항에 보내고 오면서 내 삶을 뒤돌아본다. 아이들이 커서 제 갈 길을 떠나고, 아내도 나이가 들어 자기 일에 바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 때문에 좀 쓸쓸함을 느낀들 그 누구를 탓할 일도 아니다. 필연적인 수순이다. 언젠가는 홀로 될 연습을 하는 것이 요즘의 내 삶이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그러고 보니 당연한 일에 괜히 속병을 앓았다.
장병선 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무역관장
'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남 이상재의 YMCA 운동 (0) | 2010.09.06 |
---|---|
강화_시인 함민복 (0) | 2010.09.06 |
수경수좌를 생각하며 (0) | 2010.09.06 |
이번 6월엔 현충원을 한번 걸어봅시다 (0) | 2010.09.06 |
정민의 世說新語](57) 살풍경(殺風景) (0) | 2010.09.06 |